"반일·친일"을 넘어 "경일・협일" 시대에=한국 “일본 연구가”의 칼럼
일본이 외국인의 입국 규제를 완화한 3월 초, 함께 일하고 있던 학생으로부터 출국 인사말의 전화가 있었다. 지난해 아마존 재팬에 합격했지만, 코로나19 감염증 사태로 일본에 입국할 수 없어 1년 연기를 강요당했지만, 드디어 입사한 것이다. 지난 2년간 필자와 근무하던 5명의 취업준비생 중 2명이 일본에서 일하고 있다. 취업준비생들은 일본어와 영어에 능숙하며 컴퓨터 활용능력도 뛰어나다. 10여년 전부터 한국 젊은이들의 일본 IT 기업 진출이 크게 늘고 있는 배경이다. 한편 한국에서는 문계대학 졸업생 취업이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이다.

코로나 시대에서도 일본의 취업 시장은 좋은 편이다. 고졸에서도 일자리를 찾는 데 큰 어려움은 없다. 대졸자들의 취업률은 90%를 넘는다. 수도권은 물론 지방대학에서도 마찬가지다. 어학에 특화된 간다 외어대학도 올해의 졸업생 대부분이 취직했다. 간사이대학 관계자는 “문계 학생도 졸업 1년 전에는 희망자는 거의 입사가 내정한다”고 말했다.

일본 경제가 20년 이상의 장기 정체에 있어도 고용이 충분한 것은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젊은이들의 노동 인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대기업이 중심인 한국과 달리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중소기업은 많다. 다만 한국 대기업과 비교하면 기대만큼 급료가 많지 않다는 것은 고려해야 한다. 이런 점을 고려해도 취업난에 직면하고 있는 한국의 청년들에게 일본 시장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에서는 최근 문화산업에서도 일본과 협업에 의한 성공 사례가 늘고 있다. 지난달 말 열린 제75회 칸 국제영화제에서 영화 '베이비 브로커'에서 열연한 송강호씨가 주연 남우상을 수상해 화제가 됐다. 일본의 거장인 시에다 히로카즈 감독이 만든 첫 한국 영화이다. 영화·드라마·대중가요 등에서 한일간 수평적인 분업이 이루어지면 글로벌 콘텐츠 시장에서 더 많은 결실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 5월 30일 열린 제54회 한일 경제인 회의에서도 양국 관계의 변화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서울과 도쿄를 온라인으로 묶어 열린 이 회의의 테마는 '한일경제의 새로운 무대'였다. 양국의 정·관·재계인들이 대거 참석해 현장 분위기는 매우 열기가 있었다. 한일경제협회 김윤 회장은 “지난 몇 년간 복합적인 정치·외교의 갈등이 큰 교훈이 돼 양국 기업들이 '그 관계에서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협력해야 한다'는 자각 가 태어났다”며 “자치단체 간의 공생과 인적 교류를 통해 식은 양국 관계를 풀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1965년 국교정상화 이후 최악으로 여겨지는 한일관계가 조금씩 나아질 조짐이 보인다. 우크라이나 전쟁·미중패권 경쟁 등으로 동아시아 지역에서 긴장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일 양국은 자국의 평화와 경제성장 때문에 화해의 필요성이 이전보다 한층 높아졌다. 또 한일 간 국력의 차이도 좁혀 '일본 콤플렉스'에서 벗어날 수 있는 토양도 쌓였다. 앞으로 한일은 과거의 악연을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 선의의 경쟁을 할 때가 왔다. 양국이 협력하면 새로운 미래를 쌓을 수 있다.

한국 '시사일본연구소' 최인한 소장
2022/06/20 09:29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