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 일간지 워싱턴 포스트에 따르면, 22일(현지시간)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보도관은 성명을 내고 “온이 되어 있던 마이크”(hot mic) 발언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의 한국과 관계는 견고하고 증진하고 있다”며 “조 바이덴 미국 대통령은 윤 대통령을 핵심 동맹으로 생각한다. 양 정상은 어제 유엔 총회를 계기로 유익하고 생산적인 회동을 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윤 대통령은 미국 현지 시간 21일 뉴욕에서 열린 바이덴 미국 대통령 주최 글로벌 펀드 제7차 재정공약회의에 참석한 자리에서 속어를 하는 모습이 방송국 카메라에 사로잡혀 논란을 일어났다.
복수의 방송사가 공개한 보도 영상에는, 윤 대통령이 회장을 나올 때, 박진 외교부 장관에게 「국회에서 이 XX등이 승인하지 않으면, 바이덴은 멘츠 둥글거린구나」라고 말하는 것 같은 장면이 파악되었다.
이후 김은혜 대통령실 홍보 수석은 해당 발언이 바이덴 대통령과 미 의회를 노린 것이 아니라 한국 야당에 대한 우려를 드러낸 것으로 해명했다.
김 수석은 “(해당 발언에 대해) 미국 의회가 아닌 한국 거대 야당으로 바이덴이 아니라 날리면”이라고 발언했다며 “미국의 이야기가 나올 리가 없어 바이덴이라는 말을 발하는 이유는 더욱 없다”고 해명했다.
발언 경위에 대해서는 “윤 대통령은 이 회의에서 저개발 국가 질환을 없애기 위해 1억 달러(약 142억엔)의 공여를 약속했다. 하지만 예산 심의권을 장악하고 있는 한국 거대 야당이 한 기조를 깨고 국제사회에 대한 최소한의 의무를 이루지 않으면 나라의 면목이 없으면 박진 장관에게 전했다”고 밝혔다.
2022/09/26 09:18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