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해설> 한일관계 개선을 위한 움직임 속에서 아직 해결되지 않는 위안부상 설치 문제
독일 중부 주립 카셀 대학 부지 내에 설치된 위안부상이 지난 9일 철거됐다. 동상은 작년 7월에, 동대의 학생들이 독일의 한국계 시민 단체 「코리아 협의회」와 제휴해 설치한 것. 한국지의 한겨레 신문은 “철거 배경에는 일본 정부의 끊임없는 압력이 있었다는 주장이 나온다”고 전했다.

한국 내나 한국계 시민단체가 위안부 문제를 호소할 목적으로 설치한 위안부상은 이제 세계 각지에 퍼지고 있다. 위안부상이 처음 설치된 것은 2011년 12월. 전 위안부 지원단체의 정신대 문제 대책 협의회(정대협, 현·일본군성 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 기억 연대)에 의해 서울의 일본 대사관 앞에 놓여졌다. 이 단체가 위안부 문제 해결을 호소하기 위해 매주 수요일에 실시하는 집회(수요일 집회) 통산 1000번째 개최를 기념해 설치했다. 정대협은 당초 일본 대사관 앞에 위안부의 기념비를 세우고 싶다고 서울시 종로구 구장에 요청했다. 당시 한국 언론의 보도에 따르면 구장은 기념비의 경우 도로 전용 허가가 필요하지만 동상이라면 예술품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문제 없다는 견해를 보였다고 한다.

그러나 공도에 건조물을 설치하는 것은 한국의 법률을 위반할 뿐만 아니라 일본 대사관 앞에 설치하는 것은 외교공관의 위엄과 기능을 보장하는 비엔나 조약에도 위반한다. 일본 정부는 당시부터 동상 설치에 유감의 뜻을 나타내고 있으며, 지금까지 반복적으로 한국 정부에 철거를 요구해 왔다.

2017년 종로구는 '도시공간예술조례'의 개정안을 통과하고 위안부상을 '공공조형물'로 구의 관리하에 두었다. 이에 따라 상을 이전하거나 철거하는 경우 구의 도시공간예술위원회의 결정에 따라야 하며, 현재도 상은 철거되어 있지 않다.

이후 동상은 한국 내에 그치지 않고 현지 한국계 시민단체들에 의해 독일이나 미국 등 국외에도 설치되게 됐다.

독일 카셀대 캠퍼스 내에도 지난해 7월 위안부상이 설치됐다. 학생 단체가 설치하고 싶은 취지를 코리아협의회에 전한 바, 한국의 조각가가 동상을 기증했다. 동상에는 "전쟁 중 성범죄 희생자의 고통을 추도하는 기억의 공간" 등으로 독일어로 새겨졌다.

그러나 이 상을 둘러싸고 학장 측이 지난해 9월 철거하도록 코리아협의회에 통보했다. 같은 달 한국 시민단체가 동상의 후원자 명단을 전달하기 위해 현지를 방문했을 때 코리아협의회는 학장의 철거 통지 배경에는 일본 정부의 철거 요구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동상은 이달 9일 철거되었다. 동대는 성명에서 "설치 기한이 종료되었기 때문"이라고 철거 이유를 설명했다. 동상 설치 기한은 당초 예정보다 7개월 연장됐다고 한다.

한국의 전위안부 지원단체 ‘일본군성 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 기억 연대’는 10일 보도자료를 내고 동상의 철거 배경에는 일본 정부의 압력이 있었다고 주장하며 일본 정부 규탄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독일에서는 베를린·미테구의 공용지에서도 코리아 협의회가 중심이 되어, 2020년 9월에 위안부를 상징하는 소녀상이 설치되었지만, 새로운 기념비가 세워질 때까지 존속할 전망이 되었다. 이 상을 둘러싸고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지난해 4월 일독 정상회담 때 숄츠 총리에게 철거를 위한 협력을 요구한 바 있다. 총리 스스로가 동상 철거를 직접 요청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었다. 그러나 이대로 동상의 설치를 유럽의 주요국인 독일에서 용서하면 잘못된 역사가 국제사회에 뿌리를 내릴 수 있다는 일본 정부의 위기감이 배경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동상의 관할은 미테구에서 독일 정부로 개입할 여지가 적기 때문에 숄츠 총리의 반응은 좋지 않았다.

이 동상은 2020년 10월에 미테 구장이 일단은 철거를 명령했지만, “이 동상은 전시하에 있어서의 여성에 대한 성폭력을 테마로 한 것으로, 일본에 특화한 것은 아니다”라고 주장한다 코리아협의회 측의 심한 항의를 받아 명령은 철회됐다. 동구는 1년간의 상 설치 허가를 낸 후, 2021년 8월에도 설치 기간 연장을 결정. 일본 정부는 구 등 독일 측에 항의해 조기에 철거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위안부 문제의 '최종적이고 돌이킬 수 없는 해결'을 확인한 2015년 한일 합의에서는 국제사회에서의 비난과 비판을 서로 삼가하고 있다. 한일의 역사 문제를 둘러싸고, 한국 정부는 이달 6일, 전 징용 공소송 문제의 해결책을 발표. 이달 16일에는 윤석열(윤석열) 대통령이 일본에 와서 한일 정상회담이 열렸다. 한일관계 개선을 위해 크게 전진했지만 한일 사이에는 징용공 문제뿐만 아니라 상 설치도 포함한 위안부 문제 등 여전히 많은 현안이 남아 있다.

2023/03/23 12:52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