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 후보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작지만 확실한 행복'의 11번째 공약으로 앞서와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이 후보는 “미혼여성에게 ‘산부인카(산부인과)’에 가는 것은 어려운 일이 없다. 임신·출산 등 “기혼여성을 위한 병원이다”는 선입견이 있기 때문”이라며 “실제 있는 여론 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혼 여성의 80% 이상이 ‘산부인과는 일반 병원에 비해 주저한다’고 응답하고 있다”고 전했다.
계속해서 「『산부인과』라고 하는 명칭은, 여성을 “부인”이라고 칭한 일본에 의한 식민지 시대의 잔재이다”라고 하고 “여전히 여성의 질환을 “부인병”이라고 부르는 시대 착오적인 인식 이에 따라 미성년 여성과 미혼 여성이 질병을 치료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후보는 “과거에도 진료 과목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소아과”를 “소아 청소년과”로 하고 “정신과”를 “정신 건강 의학과”로 바꾸고 있다”며 “자세한 제도 개선과 함께, 현장 혼란이 일어나지 않도록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명칭 변경으로 시작되어 혼인과 출산·연령에 관계없이 모든 여성들이 안심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의료환경을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약속했다.
한편 한국어 한글로 쓰면 '부인'과 '부인'은 구별할 수 없다. 또, 이 후보가 목표로 하고 있는 「대통령」도 일본에서 만들어진 일본제 한어. 그것이 한국어 '태통령(대통령)'이 됐다.
2021/11/26 21:10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