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해녀항일운동의 주역, '1월 독립운동가' 선정=한국
한국의 국가보훈처와 광복회, 독립기념관은 푸춘화, 김오경, 푸덕양 선생을 '2022년 1월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들 여성은 1931~1932년 일본제국주의와 해녀조합의 수탈과 착취에 저항한 제주 해녀항일운동을 주도했다. 제주해녀항일운동은 총 1만7000여명이 참여한 제주도 내 최대 규모의 항일운동으로 평가받고 있다. 팝천사(호이지) 항일운동, 조천만세운동과 함께 제주 3대 항일운동 중 하나로 꼽힌다.

국가보훈처가 이달 독립운동가를 발표하기 시작한 1992년 이후 제주도 출신자가 선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세 사람은 제주도 구자면(구 좌면)(현·구좌읍) 출신이다. 푸춘화 선생님은 15세, 김오경 선생님은 9세, 푸덕양 선생님은 13세로 집 생계를 지지하기 위해 해녀로 생활을 시작했다.

선생님들은 1928년부터 1931년까지 허드(하도) 보통학교 야학강습소에서 함께 공부해 근대항일·민족의식에 눈을 떴다.

1930년 해녀조합 텡사 해조류 부정판매에 항의하고 있던 하도리(하도리) 청년들이 일본 헌병에 검거되자 같은 지역에 사는 해녀들 모두 저항했다.

이듬해인 1931년 12월 일본 제국주의 해녀 착취에 항의하기 위해 선생님들이 하도리 해녀 회의에서 대표로 선출되었다.

1932년 1월 12일 제주시 구좌면 세파리(세화리)에서 시장이 서 있는 날 제주도사(현제주도지사) 겸 해녀조합장이 순시를 실시했다. 이에 대해 하도리의 해녀를 포함한 제주 일대의 해녀들은 ‘열매만’과 ‘와와비가네’(전복을 채취하는 도구)를 휘두르며 시위했다.

선생들은 ‘시마시의 조합장 겸직 반대, 일본 상인 배척’ 등 요구조건 관철을 위해 제주시와 직접 협상했다. 위협을 느낀 제주도사는 요구조건을 5일 이내에 해결하겠다고 약속했다.

제주도지가 돌아온 후 일본은 헌병을 출동시켜 1월 23일부터 27일까지 해녀 34명과 청년 수십명을 체포했다.

선생님들은 헌병에 체포되어 미결수로 수개월 동안 헌병 유치장에 수감되어 괴로워했다. 푸드클린 선생님은 고문 후유증으로 몸이 쇠약해 28세의 젊음으로 사망했다.

한국 정부는 선생님들의 공훈을 기리기 위해 푸춘화 선생님과 김오경 선생님에게 2003년 건국 포상을, 푸덕양 선생님에게도 2005년 똑같이 건국포장을 수여했다.

2022/01/03 21:05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