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해설>원징용공 문제, 해결책 좁혀졌다? 미쓰비시 중공에의 배상 명령으로부터 4년, 조기의 결착 목표로 협의 진행하는 한일 당국
한일 최대의 현안인 원징용공 문제에 대해 한국 외교부(외무성에 상당)는 지난달 29일 해결책에 대해 “이전보다 좁혀진 것은 사실”이라고 밝혔다. 한편, 원징용공을 둘러싼 한국의 대법원(대법원에 상당) 판결로부터 4년을 맞이한 같은 날, 원고들이 대법원 앞에서 회견해, 일본 기업 자산의 현금화를 조기에 확정시키도록 대 법원에 요구했다. 한일 당국은 조기 해결을 목표로 협의를 추진하고 있지만 연합뉴스는 적어도 해결책을 연내에 발표하는 것은 어렵다고 본 외교부 당국자의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원징용공 소송을 둘러싸고 대법원이 2018년 11월 미쓰비시중공업에 원고에 배상을 명했다. 그러나 배상문제에 관해서 일본으로서는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에서 해결이 끝난 것으로 입장에서 이 회사는 이행을 거부했다. 이 때문에 원고측은 2019년 1월 한국내에 있는 이 회사의 자산의 압류와 매각(현금화)을 향한 절차를 거뒀다. 2019년 3월 중부 태전(대전) 지재는 이 회사의 국내 자산인 상표권 2건과 특허권 6건의 압류를 결정했다. 동사 측은 압류 명령을 불복으로 즉시 항고했지만, 동지재가 이를 기각. 이 회사는 지재의 판단을 불복으로 대법원에 재항고했지만 기각됐다.

이에 따라 이 지재는 지난해 9월 원고 2명이 요구했던 총 5억원 상당의 회사 상표권과 특허권 매각 명령을 결정했다. 이 회사 측은 이에 대해서도 항고했지만 기각되어 올해 4월 대법원에 재항고했다. 한편 대법원은 재항고에 대한 판단을 내리지 않았다.

만일 현금화되면 일본 정부는 제재 조치를 취할 자세로, 그렇다면 한일관계는 파탄한다고 해도 말해지고 있다. 따라서 현금화는 절대로 피해야 한다는 인식에서는 한일 양 정부와도 일치하고 있다.

올해 5월 취임한 윤석열 대통령은 한일관계 개선에 의욕을 보이며 한일 최대의 현안인 전징용공 문제 해결을 향해도 지금까지 정력적으로 액션을 일으켜 했다. 7월에 관민협의회를 발족. 외교부 조현동 제1차관이 주재해 학자와 법조관계자, 전 외교관 등 외에 당초는 원징용 공소송 원고측 대리인들도 멤버에 합류했다. 그러나 외교부가 대법원(대법원)에 징용공 문제 해결을 위한 외교 노력을 설명하는 의견서를 제출한 것에 원고측이 맹반발. “피해자 측과의 신뢰관계를 완전히 잃게 하는 행위다”며 협의회에 앞으로 참여하지 않을 생각을 제시했다. 그 때문에 3회째 이후는 원고측 관계자가 전원 불참으로 진행되어 9월에 열린 4회째가 마지막이 되었다. 당시 외교부는 “비공개로 참석자를 제한하는 형태의 협의회는 앞으로 개최되지 않지만 네 번째 협의회가 의사소통 끝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원고 측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보다 광범위한 형태로 의견 수집을 계속하면서 한국 정부의 해결안을 만들기 위한 작업에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한국 정부는 당초 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 정부의 예산을 사용한 대위 변제안을 검토했지만 원고가 반대해 실현은 어렵다고 판단. 다른 방책을 모색하는 가운데, 한국의 전징용공을 지원하는 재단이 양국의 기업 등으로부터 기부금을 모집해, 배상금을 어깨 대신하는 방안이 부상. 한국 정부는 현재 이를 가장 유력한 해결책으로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국회는 현재 윤정권의 대일정책을 '약요외교' 등으로 비판을 강화하는 최대야당 '함께 민주당'이 의석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문제해결을 어렵게 하고 있는 측면도 있지만 기존 재단 을 사용한 이 방법이라면 새로운 법정비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국회심의에서 고민할 걱정은 없다. 그러나 원고측은 한국의 재단 등 제3자가 사이에 들어간다고 해도 일본 기업의 사과와 기부금의 기여에의 참가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나타내고 있는 한편, 일본은 이에 따른 자세를 명확하게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이 홈을 채울 수 있는지가 열쇠가된다.

외교부 당국자는 지난달 29일 “한일간에 이전보다 좀 더 구체적인 해결책에 대해 협의가 진행되고 있다. 전보다 좁힌 것은 사실”이라고 밝혔다. 다만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지난달 13일에는 캄보디아의 수도 프놈펜에서 한일 정상회담이 열렸다. 회담이 이뤄진 것은 2019년 12월 이후 약 3년 만에 기시다 후미오 총리와 윤석열 대통령은 전 징용공 문제에 대해 외교 당국 간의 협의가 가속되고 있음을 근거로 조기 해결을 도모한다 그리고 일치했다. 또 지난달 24일에는 도쿄에서 국장급 회의가 열리는 등 전징용공 문제를 둘러싸고 긴밀한 협의가 이어지고 있다.

조기 해결을 목표로 하는 한편, 외교부의 당국자는 연합 뉴스의 취재에 “원고측과 일본측과도 이야기해야 하고,(한국) 국민이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여론을 찾아야 할 필요도 있어 시간이 걸려 있다. 일부에서 해결책을 연내에 발표할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지만, 좀 더 시간이 걸릴 것 같다"고 말했다.

2022/12/05 12:59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