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解説>日本、大韓航空とアシアナの合併承認=残るEUと米国の判断は?
일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의 합병 승인 = 남는 EU와 미국의 판단은?
일본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달 31일 한국 최대 항공사, 대한항공에 의한 동 2위 아시아나항공 인수계획 승인을 밝혔다. 대한항공 인수계획에 관해서는 각국
경쟁 당국이 경쟁상의 문제가 없는지 심사를 진행해 왔다. 일본의 승인으로 남은 것은 미국과 유럽연합(EU)뿐이었다. 로이터 통신은 지난달 여러 소식통에 대한 취재에 따라
유럽위원회(EC)가 합병을 승인할 전망이라고 보도. 이런 점에서 사실상 남은 것은 미국의 승인만과 견해를 전하고 있는 한국 언론도 있다.
양사의 합병을 둘러싸고는 긴 경위가 있다. 아시아나항공이 2015년 12월기에 부채가 8.4조원 엔(현율로 약 92
44억 8800만엔)에 이르는 등 경영이 악화. 2018년에 본사 빌딩을 매각해도 자금 반복에 시달리게 되고, 한국 재벌의 거미(금호) 아시아나 그룹은 2019년 4월에
시아나항공 매각을 발표했다. 2019년 말 현대재벌계열의 HDC 현대산업개발과 미래 자산대우의 컨소시엄이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나 이후 신형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확대로 상황이 인수계약을 맺은 당시와 크게 바뀌었고, 2020년 9월 HDC는 아시아나항공 인수계획 백지를 발표했다. 이에 따라 아시아나항공채
권단을 정리하는 정부계 한국산업은행은 매각처를 대한항공으로 결정했다. 대한항공은 2020년 11월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정식으로 발표했다. 대한항공은 동사와 아시아나항
하늘이 독립된 회사로 운영하는 것보다 통합하는 것이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고용 유지로 이어지는 것 외에 중복 노선의 효율화나 신규 취항지의 증가, 운항 스케줄의 다양화, 고고
고객 선택의 증가, 마일리지 적립과 이용 수단의 다양화 등의 장점이 있다고 강조. 합병 완료 후 아시아나 브랜드를 폐지하고 대한항공 브랜드 '한국
Air '로 단일화해 운항기재와 판매조직의 효율화를 진행할 방침이다. 대한항공은 2021년 1월 이후 기업통합 승인을 받아야 하는 14개국 경
쟁 당국에 대해 승인을 받기 위한 신고를 했다. 그 후, 자국의 한국 외, 터키, 대만, 베트남,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호주, 중국의 당국이 승인. 조건부 승인
한 영국과 사전심사 대상에서 제외되는 취지를 대한항공에 통지한 태국, 심사대상이 아니라는 이유로 절차를 종결한 필리핀을 포함한 11개국·지역에서 심사가 완료됐다.
. 일본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달 31일 인수계획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일본측은 지금까지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뿐만 아니라 대한항공그룹에 속하는 LCC(저렴항항)
항공사)의 진에어나 아시아나항공 LCC의 에어부산과 에어서울을 자회사화할 경우 일본과 한국 간 노선으로 대한항공 점유율이 높아져 경쟁이 제한될 우려가 있다고
그리고 시정조치를 요구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대한항공은 삿포로/치토세, 나고야/중부, 오사카/간사이, 후쿠오카~서울/인천선과 삿포로/치토세, 오사카/간사이, 후쿠오카~부산선의 7노선
발착 프레임을 양도하는 것으로 시장 점유율의 과점화를 시정한다고 제안. 공위위는 이런 조치의 실행을 전제로 하면 경쟁이 방해될 우려가 없다고 판단했다.
일본이 승인한 것으로 남은 것은 미국과 EU뿐이었다. 대한항공은 “일본 승인이 미국과 EU의 승인 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
기대하고 있다”고 코멘트했다. 양사의 합병에 대해 EU의 행정 집행 기관인 EC는 지난해 5월 양사의 기업 통합 심사에 대한 중간 심사 결과를 발표하고 합병에 차이를 주었다.
했다. EC는 여객 수송 사업에 대해 인천(인천)-프랑크푸르트(독일), 파리(프랑스), 바로셀로나(스페인), 로마(이탈리아)의 4개 노선으로 화물 사업에
이어 한국-유럽 전역에서 경쟁 제한이 우려된다는 견해를 보였다. 이에 따라 대한항공은 지난해 11월 경쟁제한 우려 완화를 위한 시정조치안을 EC에 제출했다. 현재 심사
중이지만 한국 언론 등에 따르면 EC는 이달 14일 전에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또 로이터 통신은 지난달 EC는 승인할 전망이라고 보도했다.
EU가 처음 인정하면 남는 것은 미국만이지만, 한국 미디어의 아시아투데이는 “미국이 승인할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업계의
견해가 교착한다”고 해설했다. 기사는 “유럽이 승인 방침이라면 미국도 같은 방향이 될 것이라는 예상과 함께 미 사법성이 미한 노선의 독점을 우려해 소송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는 예측도
나와 있다”며 “만일 미국의 반발이 현실화되면 또 한산이라는 것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2024/02/05 08:59 KST
Copyrights(C)wowkorea.jp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