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解説>2018年9月の南北首脳会談から6年、当時締結した「軍事合意」は今や全面破棄の虚しさ
2018년 9월 남북정상회담에서 6년 당시 체결한 '군사합의'는 이제 전면 파기의 허위
한국 문재인(문재인) 전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김정은) 총서에 의한 2018년 9월 남북정상회담에서 6년이 된 19일 기념식전이 남서부
광주 (광주)에서 열렸다. 식전에서는 문전 대통령이 연설하고 당시 남북간 체결한 '9.19 군사합의'의 효력이 올해 6월 윤석열 현 정권에 따라 전
면정지된 것을 비판. “한반도는 군사적 충돌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고 우려를 보였다. 한국과 북한은 2018년 9월 19일 열린 남북정상회담에서 '평양(평
양)공동선언'과 부속합의서로 '9·19군사합의'를 체결했다. 군사 합의는 남북이 군사적 긴장 완화를 위해 노력할 것을 약속하는 내용으로, 남북은 지상, 회장, 공중에서
일체의 적대행위를 그만두고 비무장지대(DMZ)를 평화지대로 바꾸기 위한 대책을 강구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군사 경계선 상공에의 비행 금지 구역의 설정, DMZ내에 있는 감시소의
시험철수, 황해의 북방 한계선(NLL) 부근의 '평화수역'으로의 전환과 범위 설정,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내 관광객의 자유 왕래 등이 담겼다. 그러나 201
9년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북-미 정상회담이 이별에 끝난 것으로 남북관계는 다시 식혀 합의 이행도 정지했다.
그리고 지난해 11월 한국정부는 북한이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함에 따라 그 대항조치와
하여 남북군사 합의에 담긴 '비행금지구역 설정'의 효력 정지를 결정했다. 한편 북한 역시 직후 “합의에 따라 중단된 모든 군사적 조치를 즉시 부활시키
라고 합의의 「파기」를 표명. 남북 군사 경계선 부근의 감시소를 부활시켜 병사와 화기를 재배치했다. 북한에 강경한 자세의 윤 대통령은, 이어서 중대한 사유가 발생했을 경우는
합의의 효력을 정지할 생각을 제시했고, 한국 정부는 올해 6월 합의의 효력의 전면 정지에 착수했다. 북한이 쓰레기와 오물을 매달린 풍선을 한국 쪽으로 날린 것에 대한 대항조치였다.
당시 한국 청와대는 효력 정지로 “북한의 도발에 대한 충분하고 즉각적인 조치가 가능해진다”고 했다. 기간은 '남북 간 상호 신뢰가 회복될 때까지'로 하고 있다.
효력 정지로 남북군사 경계선 부근에서 확성기에 의한 대북 선전방송도 재개할 수 있게 됐고, 한국군은 올해 6월 약 6년 만에 방송을 진행했다. 이 방송은 한국
의 풍부한 생활만을 전하기 때문에 최전선의 북한군 병사에 대한 심리적 영향이 크다고 한다. 7월에도 방송이 진행되어 김정은 정권이 한국문화 유입을 엄격히 단속한다
주요 목적으로 2020년에 제정한 '반동사상문화배격법'과 김총서기의 사상, 행동과의 모순을 지적했다. 방송에서는 "대한민국은 취미를 넓고 깊이 즐기는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쿠프(오타쿠)라는 말이 있지만 북한에도 독후가 있다”며 “농구를 좋아하고 그 공을 안고 잠을 자는 김정은”이라고 지적했다. “김정은 자신은 미국 문화
을 대제해두면서 주민들에게는 문화를 알리지 않지만 그 의도가 신경이 쓰인다”고 비판했다. 2018년 9월 남북정상회담에서 6년이 된 이달 19일 한국·광주에서 기념식
전이 열리고 당시 한국 대통령이었던 문재인씨가 연설했다. 문씨는 “역대 정권이 이룬 성과를 망치고 있다”며 윤정권의 대결적인 북한 정책을 비판. 윤정권이 올해
6월 9·19 군사합의의 효력을 전면 정지시킨 것에 대해서는 한반도는 군사적 충돌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며 남북 당국은 더 이상 상황을 악화시킬 것 아니고
즉시 대화를 시작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또 문정권에서 외무 1차관을 맡은 최정공씨도 합의 전면정지에 대해 “도로에서 누군가가 난폭한 운전을 하고 있기 때문에 자신도 안
전 벨트를 떼어낸 것 같다”고 비판했다. 한편 여당 '국민의 힘' 송영훈 보도관은 '북한은 '9.19 군사합의' 이후 5년 만에 실로 3600여 회의 위반과 도전
발을 반복해 왔다"며 "'9.19 군사합의'는 우리나라 안보에 위협을 주는 사슬로 작용했다"고 주장했다.
2024/09/25 13:06 KST
Copyrights(C)wowkorea.jp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