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解説>南北破綻を印象付ける、開城工業地区支援財団の解散
남북 파탄을 인상하는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 해산
한국과 북한이 공동으로 운영하고 2016년 2월부터 조업이 중단된 북한 남부 케손(개성)의 개성공업단지를 둘러싸고 단지 운영을 지원해 온 한국의 개성공업지구지
원재단이 가까이 해산하게 됐다. 이 단지 운영은 한국과 북한의 경제협력을 상징하는 사업이었지만, 한국의 윤석열 정권은 남북 교류·협력 분야 축소를 추진
있어, 재단의 해산도 그 일환. 한편 미국 언론의 보도에 따르면 한때 같은 단지 내에 있으며 2020 년 6 월 북한이 일방적으로 폭파 한 남북 공동 연락 사무소의 흔들림 철거 작업
정도 완료한 것으로 보인다. 작업은 북한에 의해 작년 초경부터 계속되어 왔지만, 한국 통일부(부는 성에 상당)는 “우리의 재산권에 대한 침해를 계속하고 있다”라고 비난해, 즉각
중단을 요구했다. 한때 융화와 협력의 상징이었던 동지를 둘러싼 일련의 움직임은 이제 남북의 파탄을 강하게 인상하고 있다.
개성공업단지는 북한 김정일(김정일) 국방위원
장과 한국의 김대중(김대중) 대통령(견서는 모두 당시)와의 합의에 따라 남북 군사 경계선에 가까운 개성 교외에 조성된 한국 기업용 공업단지. 기본적으로 북한이 토지
와 노동력, 한국이 자금과 기술력을 제공한다는 합의하에 2004년 조업을 시작했다. 단지 내에서는 섬유나 기계, 금속, 전자 부품 등이 생산되어 규모는 해마다 확대. 생산액은 200
5년에 1491만 달러, 2006년 7347만 달러, 2007년 1억 8478만 달러, 2008년 2억 5142만 달러, 2009년 2억 5647만 달러
했다. 2010년에는 한국 중소기업 121개사가 생산을 하고 한국인 노동자 약 800명, 북한 노동자 약 4만4000명이 종사했다.
그러나 2013년 2월 북한이 지하핵 실험을 강행한 것이 계기로 양국 관계가 악화. 같은 해 4~9월 반
바까지 조업정지에 빠졌다. 이후 재개하더라도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자금원을 거절하기 위해 2016년 2월 한국 박근혜 정권이 다시 조업 정지를 결정했다.
2018년 9월 남북 정상회담에서 조업을 재개하는 것으로 합의했지만, 그 후 남북관계는 다시 악화. 그리고 2020년 6월 9일, 북한은 단지 내에 있던 남북 공동 연락 사무소를
폭파시켰다. 남북융화의 상징이라고도 불리는 건물이 목단 다진에 파괴되는 영상은 세계에 충격을 주었다. 정권공약으로 남북융화를 내건 문재인(문재인) 전 대통령은 남북
경제공동체 구축을 위한 '한반도 신경제지도' 등의 구상을 통해 개성공업단지 재개를 포함한 대북 접근법을 시도했다. 그러나 북한은 미사일 개발을 계속하며 특히 2019년
2월 북미 정상회담 결렬로 남북관계가 단번에 악화된 이후 남북의 경제교류는 끊기고 공업단지 조업정지가 이어졌다.
그러나 북한은 한국 측에 무단으로 단지 내의 시설을 가동시키고 있는 것이
지금까지 확인되었습니다. 통일부는 지난해 12월 그 수는 약 30개 시설에 이를 것으로 밝혀 “남북 합의의 명백한 위반이며 상호 존중과 신뢰의 토대를 근본적으로 손상시키는 행위”라고 지적
. 즉시 중단하라고 요청했다. 이 단지의 운영은 통일부의 외곽단체로서 2007년 설립한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이 지원해 왔다. 재단은 단지 입주 기업의 허가 및 단지에
출입, 시설 관리 등을 담당해 왔지만 2016년 단지 가동이 중단된 뒤 사실상 업무는 없었다. 재단 유지에는 연간 약 70억원(약 7억8800만엔)이 소요되며 예
산의 낭비라는 지적도 나왔다. 연합뉴스가 통일부 당국자 취재를 바탕으로 전한 바에 따르면 지난해 말 재단 해산이 결정됐다. 이달 12일 재단 업무를 민간에 위탁
하는 내용의 개정안이 각의 결정. 재단은 이르면 20일쯤 해산할 전망이다. 해산 후 업무는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에 위탁된다.
한편 재단은 단지 내의 기술지원센터나 정·배수장 등 1000억원 이상의 자산을 보유
가지고 있지만 이들 재단에 대한 채권은 동협회가 아니라 청산법인이 관리한다.
2024/03/14 13:48 KST
Copyrights(C)wowkorea.jp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