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를 주장하고 있다. 북한의 김강일 국방차관은 이달 26일 조선 중앙통신을 통해 담화를 발표. 한국이 북한과의 해상 경계를 침범하는 빈도가 늘고 있다고 주장하며 “자위
힘을 행사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NLL은 한국 전쟁 휴전 후 1953년 8월 유엔군에 의해 설정된 해상 경계. 한반도 상의 군사경계선을 연장하는 형태로 정
되었다. 휴전에 따라 전쟁의 재연을 막기 위해 한국과 북한의 실효 지배 지역을 결정할 필요가 생겨 유엔군은 육상에 대해서는 군사 경계선, 해상에 대해서는 북방 한계선을 한국과 북한의
군사 경계선으로 설정해 북한에 통고했다. 그러나 북한은 NLL은 무효라고 주장. 1999년 북방 한계선보다 남쪽으로 '해상군사 경계선'을 일방적으로 정했다.
북한은 지금이야말로 NLL을 부정하고 있지만 오랫동안 NLL의 존재를 인정해 왔다. 1959년 발간한 '조선중앙연감'에서는 북한 스스로 NLL을 '군사분계선
"라고 표기하고 있다. 또한 1992년 2월에 나온 남북기본합의서에서는 제11조에서 “남과 북의 불가침 경계선과 구역은 1953년 7월 27일 군사정전에 관한 협정에 규정
군사분계선과 지금까지 쌍방이 관할해 온 구역으로 한다”고 확인하고 있으며, 북방분계선을 사실상 남북간 불가침 경계선으로 인정하고 있다. 또한 1992년 9월에 발표된
불가침 부속 합의서에서는, 제10조에서 “남과 북의 해상 불가침 경계선은 향후, 계속 협의한다”라고 해도, “해상 불가침 구역은 해상 불가침 경계선이 확정될 때까지 지금까지 관할
온 구역으로 한다”고 확인하고 있다. 북한과 한국 양측이 주장하는 경계선이 존재하는 황해에서는 그동안 몇 차례 남북 간의 무력 충돌이 일어났다. 2010년 3월에는 한국군
의 초계함 '천안'이 북한의 어뢰 공격에 따른 폭발로 침몰해 승무원 46명이 사망했다. 같은 해 11월에는 황해상의 한국령 태연평도(대연평도)를 포격해 한국군
사람과 민간인의 총 4명이 사망, 19명이 중경상을 입는 사건이 발생했다. 조선전쟁 휴전 이후 북한이 한국 영토를 직접 공격하는 것은 처음으로 충격이 퍼졌다.
그리고 올해 1월에는 북한은 연평도에 가까운 해역에 3일 연속 포격을 했다. 한국 측에 피해는 없었지만 2010년 사건이 떠오르며 긴장이 높
멈췄다. 섬민에게는 한때 피난 명령이 내려졌다. 김정은(김정은) 총서기는 올해 1월 최고인민회의(국회)에서 '불법무법의 '북방 한계선'을 비롯한 어떠한 경계
선도 허용되지 않고 대한민국이 우리 영토, 영공, 영해를 0.001밀리라도 침범한다면 그것은 즉 전쟁도발로 본다”고 경고했다. 또한 2월에 해군에 배치하는 신형 지대함
미사일 '파다스리 6'의 발사 실험을 시찰했을 때에는 NLL을 다시 부정했다. 김 총서기는 NLL에는 국제법상의 근거가 없고 한국이 어선 단속 등을 구실로 침범을 반복
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연평도 등의 북측 해역에서 군사 태세를 강화하도록 지시. 북한이 경계선이라고 주장하는 전출의 '해상경계선'을 '실제 무력행사로 철저히 지킨다'고 말했다.
우리가 인정하는 해상국경선을 적이 침범할 때는 무력도발로 본다”고 경고했다. 김 총서기는 이때 ‘해상 경계선’을 ‘국경선’이라는 표현을 처음 사용해 ‘해상 국경선’으로 했다. 이
의 표현은 지난해 말 김 씨가 남북을 '두 나라'로 간주한다고 한 방침 전환을 반영한 것으로 주목됐다. 그리고 이달 26일 북한 김강일 국방차관은 조선중앙통신
를 통해 담화를 발표. 한국의 해군과 해양 경찰의 기동 순찰에 의해, 「적이 해상을 침범하는 횟수도 늘고 있다」라고 한 다음에 「해상 주권이 계속 침해되는 것을 단지 방관하고 있는 것은 예
하지 않는다. 어느 순간 수상이라도 자위력을 행사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담화에 앞서 북한에서는 24일 김총서기도 참석해 조선노동당 정치국회의가 열렸다. 김
국방차관의 담화에 따르면 군사 최고지도부는 회의에서 “국가 주권에 대한 적들의 도발적인 행동에 대해 공격적인 대응을 취하도록 지시했다”고 한다. NLL 부근에서의 군사 행동을 암시
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우려된다.
2024/05/29 11:34 KST
Copyrights(C)wowkorea.jp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