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解説>「ベビーカー」にみる、韓国の深刻な少子化の現状
유모차에서 본 한국의 심각한 저출산 현상
한국에서 저출산에 멈춤이 걸리지 않는 가운데 한국 미디어는 올해 1~9월에 걸쳐 유모차보다 애완동물 카트(통칭:개용 유모차)가 많이 팔렸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됨
되었다고 보도했다. 중앙일보는 “심각한 저출산 현상이 유모차 시장에도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지적했다. 한편 윤서결(윤석) 대통령은 이달 26일
각의에서 저출산 문제를 언급해 “원인과 대책에 대해 지금까지와 다른 수준에서 생각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출생률은 1984년 1.74로 처음으로 2를 밑돌았다. 2000년대에 들어가면 1.1~1.3을 추이
, 2018년에는 0.98과 1을 인터럽트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출생률이 1을 밑돌고 있는 것은 한국뿐이다. 2018년 이후에도 톱니가 걸리지 않고, 20
20년에는 0.84, 2021년은 0.81, 그리고 작년, 과거 최저를 갱신해 0.78이 되었다. 이는 OECD 회원국의 평균(1.59명)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지역별로 목
도시 서울에서 0.59, 두 번째 도시 부산(부산)에서 0.72로 도시부에서 특히 낮았다. 한국 통계청은 분기 기준으로도 합계 특수 출생률을 발표하고 있다. 올해 7~9월기 데이터
가 지난달 29일 공개됐다. 동기는 0.70이 되어, 2009년의 통계 개시 이래, 분기 베이스로 과거 최저였던 2022년 10~12월기와 올해 4~6월기에 늘어서었다. 특히 9월에
태어난 아이의 수는 약 1만87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4.6% 감소했다. 연합뉴스는 “출생수는 연말에 가까워짐에 따라 줄어드는 경향이 있으며 10~12월기 총 특수출생률은 0
.7을 끊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하고 있다. 저출산이 여기까지 진행된 것은 결혼하는 사람이 줄어든 것이 가장 큰 요인으로 여겨진다. 초학력 사회, 취업 난의 한국에서 치열한 경쟁
말에 격차는 퍼져 경제적 불안에서 결혼이나 출산으로 밟을 수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 한국에서는 2000년대 중반에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하는 '3방'이라는 말이 태어났다. 한국에
하지만 여전히 육아는 어머니가 하는 것이라고 하는 생각이 남아 있어, 결혼하면 육아에 가사와 부담을 일거에 짊어지는 것이라는 우려로부터, 결혼을 주저하는 여성도
있다. 또 라이프스타일이 다양화해 결혼을 하지 않는 선택을 하는 여성도 있어 그것도 하나의 가치관으로 존중해야 할 시대가 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한국에서 저출산이 큰 사회 문제로 부상한 것은 2000년대 초부터다. 2003년 발족한 노무현(노무현)
정권에서 저출산 대책에 본 허리를 올려 대처하게 되었다. 윤정권도 저출산 대책으로 저임대 공영 주택 건설이나 이민 수용 등을 내걸고 있지만, 저출산은 일치
멈추지 않는다. 이런 가운데 한국 언론은 올해 국내에서 애완동물 카트(개용 유모차)의 매출 대수가 유모차를 웃돌았다고 전했다. 전자 상거래 회사 "G 마
'켓트'에 따르면 애완동물 카트와 유아용 유모차의 합계 매출 대수를 100으로 하면 올해 1~9월은 57% 대 43%라는 결과가 되었다고 한다. 2021년은 애완동물 카트
과 유모차의 매출 대수 비율은 33% 대 67%, 지난해는 36% 대 64%로 유모차가 많아 올해는 9월까지의 집계 결과이지만 역전한 것을 알 수 있다. 한국
종이 조선일보에 따르면 G마켓 관계자는 “통상 1월~9월까지 판매되는 유모차라면 적어도 5000대 이상은 팔렸을 것”이라며 그 요인으로 애완동물
무에 의해 기르는 개의 수가 급증한 것을 꼽은 것 외에 「저출산에 의해 출생수가 줄어들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라고 분석했다.
한국의 저출산 대책은 전혀없는 상황에서 윤 대통령도 26 일 각의에서
계성청에 강한 각오로 대책에 임하도록 지시했다. 많은 젊은이들에게는 사교육비의 부담, 고용 환경과 노동 환경의 악화가 출산을 주저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는 소리가 들려
된다. 따라서 윤정권은 저출산 고령화 해결의 핵심이 되는 노동, 교육, 연금의 '3대 개혁'에 임하고 있다. 연합 뉴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이날 각의에서 많은 전문가
지적했듯이 교육을 비롯한 과도한 경쟁 시스템이 저출산의 원인이라면 이것을 시정에 집중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출산에 대한 인센티브
을 확실한 저출산 대책으로 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실증적인 분석에 의해 필요한 지원을 확실히 실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에서는 이대로 출생률이 반전되지 않을 경우 2040년에는 14세 이하의 인구가 20
20년의 절반이 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2023/12/27 10:34 KST
Copyrights(C)wowkorea.jp 5